스타 자리 흔들리는 스타벅스, 다음 달부터 음료값을 또 올린다고 발표했는데, 내부적으로도 흔들리고 있는 상태인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스타벅스 코리아가 다음 달 1일부터 아이스 음료 11종의 <br /> <br />톨(355㎖) 사이즈 가격을 200원씩 올리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8월 2일에 커피 음료 그란데와 벤티 사이즈를 각각 300원과 600원씩 올린 데 이어, 석 달이 채 안 돼 또 나온 가격 인상입니다. <br /> <br />스타벅스 코리아는 직·간접 비용 상승으로 인해 일부 가격을 인상한다고 밝혔는데요, <br /> <br />물가 상승률에 따라 가격을 올리는 건 있을 수 있는 일이지만, 경영상의 어려움이 예사롭지 않은 것 같습니다. <br /> <br />우선 영업이익률을 보면요. <br /> <br />지난 2021년 10%였던 영업이익률이 그 이듬해부터 급격히 떨어져서 계속 4~5% 수준에 머물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저렴한 가격을 앞세워 공격적으로 점포를 확장 중인 컴포즈 커피와 메가커피의 지난해 영업이익률이 각각 41%와 18%를 넘는 것과 매우 대조적이죠. <br /> <br />한마디로 모종의 경영 혁신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네, 그렇군요. 한때는 스타벅스가 들어서면 건물값이 오른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그 위세가 대단했는데, 영업이익률이 이렇게 떨어진 이유는 뭔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스타벅스는 1999년 이대 앞에 1호점을 내면서 우리나라에 상륙했는데, 25년 동안 매장 수는 천9백여 개로 불어났고, 연 매출도 3조 원에 육박할 정도로 성장했죠. <br /> <br />그런데 말씀드린 대로 커진 덩치와 매출 규모, 그리고 커피 전문점의 대명사로 우뚝 선 화려한 이미지에 비해 실질적인 이익이 따라주지 못했다는 분석입니다. <br /> <br />앞서 말씀드린 저가 커피 브랜드들이 아주 작은 매장에서 테이크아웃 위주의 영업을 하는 반면, 스타벅스는 주요 요지에 넓은 매장을 운영하며 많은 인력이 들어가는 구조입니다. <br /> <br />예를 들어 인간적인 소통을 중요시한다며 진동벨 대신 고객의 닉네임이나 주문 번호를 직원이 직접 불러서 음료를 전달하는 등의 방식인데요, <br /> <br />이런 서비스로 인해 고객이 느끼는 만족감에 비해 경영 차원에서 투입되는 인풋이 너무 크다는 분석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그래서 그런지 스타벅스 직원들이 일종의 시위까지 벌였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예, 이른바 트럭시위인데요. <br /> <br />일부 직원들이 블라인드를 통해 시위 의사를 확인했고, 약 3백만 원의 자금을 모아 비대면 트럭 시위에 동참한 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기봉 (kgb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1029171521750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